영화 명량 실제 명량해전은?
_역사를 통해서 보는 영화
안녕하세요. 바라기입니다. 2014년 한국 여름의 스크린을 뜨겁게 달궜던 작품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영화 명량을 들수가 있을것 같네요. 하지만 영화 명량을 보고 많은 사람들의 평가는 엊갈리고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픽션으로서는 정말 재미있게 봤지만, 역사 사실을 생각한다면 한없이 안타깝고, 부족하기만 한 영화인거 같아요.
영화 명량은 다들 알고 있다시피 조선 최고의 장군이라고 할수 있는 이순신장군의 명량해전을 각색한 영화이죠. 스토리나 소재면이든 재미있는 영화이기는 하지만, 정말 안타깝기도 하고, 제 2의 실미도와 같은 영화라고 할수가 있을것 같아요.
영화 명량은 김한민 감독의 작품으로 최종병기활, 핸드폰, 극란도살인사건의 감독으로서 이미 흥행 보증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요. 저도 영화 명량을 보기전에 최종병기 활과같은 느낌을 생각했지만, 뭐라고 해야 하나? 역사와 픽션 그 어중간한 느낌을 지울수 없다는 것이 좀 아쉽기만 합니다.
잠깐 최종병기 활을 이야기하자면, 조선 최고의 무기였던 '활'을 소재로 한 조선 판타지/액션 영화라고 할수가 있는데요, '활'은 조선에서 극비리에 내세웠던 무기로 당시에 조총이 있었지만, 비가 오면 무용지물이 되는 조총보다 더욱더 널리 사용이 되었고, 특히 '애기살'이라는 활은 다른 나라에 극비에 붙일정도로 정확도와 엄청난 파괴력이 있던 무기였죠.
이런 '활'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만든 영화 최종병기 활은 관객들에게 신선한 자극과 탄탄한 스토리로 감동까지 주었던 영화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모두 기대하고 영화 명량을 봤다면 약간 실망을 했을수도 있어요.
일단 영화 명량는 소재자체가 한국의 애국심을 건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평작 이상을 할수가 있죠. 하지만 분명 평작과 명작은 다른 의미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영화 명량는 그저 평작정도라고 생각을 합니다.
일단 영화 명량은 너무 이순신 장군이라는 인물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안타깝고, 영화에서 관객들이 받는 감동의 9할은 영화의 연출보단 아무래도 '이순신'이라는 인물 자체가 주는 감동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물론 이순신이 주인공인 영화인데 당연한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을 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이순신장군을 굉장히 좋아하는 1人으로서 명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이 가지고 내적 갈등보다는 해전의 스펙터클한 장면에 더욱더 치중을 두었던거 같네요. 아쉽기만 합니다..
그래서 최종병기활에서 보여주었던 탄탄한 연출력 보단, 화면의 화려함만 눈에 보였던거 같습니다.
어떤 분들은 영화 명량이 너무 허구적인 픽션이 많았던것이 아닌가라고 하지만, 말 그대로 사진이나 역사의 재현이 아닌 픽션이 가미된 영화이기 때문에 이런것은 크게 게이치는 않았지만, 역사를 좋아하는 분들이 이 영화 명량을 보게 되면 확실히 감정이입은 떨어지게 되겠죠.
영화 명량이야기는 대충 이정도하고, 실제 명량해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명량해전이 이러쿵,저러쿵해도 확실히 전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었던 사건이긴 합니다. 333척을 단 7척으로 승리까지 이끌어 냈던것은 사실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명량해전은 승리할수 밖에 없었던 전쟁이라고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1. 지리적인 영향
일단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시듯이 운돌목이라는 지리적인 영향이 한몫을 했었습니다. 좁은 물길로 인해서 333척이라는 배를 가지고 있었지만 일본은 이 함선들이 다 같이 빠져나오지 못하기때문에 조선의 판옥선을 일본의 배들이 포위하지 못한다는 것과 빠른 물살도 명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이 이길수 있는 한가지 이유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운돌목을 가시면 아시겠지만, 물들이 소용돌이 치는 모습을 볼수가 있는데,, 한가지 의문점은 이런 물살로 일본의 배들을 격추시켰다는 것은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들이 있어요.
사실 빠른 물살이 도움을 주었지만,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2. 심리적인 요인
당시 명량해전이 있던 임진왜란은 왜군이 거의 승리의 깃발을 잡기 직전의 전쟁으로 엄청난 인해전술로 밀어부치려고 했으나 되려 역관광을 당하게 되었죠.
뒤에서 좀더 자세히 말씀을 드리겠지만 이런 역관광은 왜군들에게 엄청난 심리적인 압박감과, 왜의 정치적인 상황(세력자툼), 그리고 빠른 물살과 난파된 왜적선들로 인해서 길목이 막혀 결국 후퇴하게 되는 것입니다.
3. 판옥선
영화 명량에서는 거북선이 망가져서 매우 낙심을 하는 이순신장군의 모습이 나오는데, 제 생각에는 거북선이 이순신에게 그렇게 엄청나게 필요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순신이 국왕에서 '소인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습니다'라고 한것은 그저 해전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영화 명량에서도 나오지만, 판옥선과 왜적선의 크기 차이가 엄청나다는 것을 느낄수가 있으실 꺼에요. 이런 크기는 당연히 배의 견고함이 다르다는 것도 뜻합니다.
왜적선은 해적질에 최적화된 배이기 때문에 작고 외소했지만, 이에 비해 판옥선은 견고하고 최첨단 기술을 동원한 배였어요. 이는 마치 거대항공모함 12척과 통통배 333척과의 싸움이었다고 할수가 있죠.
그리고 왜적선은 오직 직진만 할수가 있는 배에 조총과 활, 그리고 칼로 싸움을 했다면, 판옥선은 360도가 돌아가고 또한 앞뒤로 대포를 장전하여 사용을 할수가 있었기 때문에 명량해전에서는 승리를 할수 밖에 없었던거 같아요.
이런것을 왜군이 생각하지 못한것은 아니었기때문에 심리적인 압박을 주기 위해 333척이라는 어마무시한 배들을 이끌고 왔지만, 이순신도 이런 사정을 모를리 만무했으며, 눈하나 깜딱하지 않고 모두 쓸어버릴수가 있었죠.
P.S 거북선은 도선(배와 배끼리 부딧혀 싸우는)에 최적화가 된 배로, 왜군이 해적질을 할때 배로 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배입니다. 하지만 이런 거북선의 최고 단점은 조선 수군들도 내부에 들어가면 매우 덥고, 습기가 많아 빨리 지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거북선이 있었다면 왜군들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은 있겠지만, 정작 명량해전에서 쓰이지는 않았을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4. 왜적선은 왜 333척이나 왔을까?
명량해전은 왜적선의 333척중 100여척을 격파하였는데, 군선이 약 200여척이었고, 나머지 100여척이 수송선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순신에게 병력의 반이상을 격추당하면서 수송선을 지켜야 하는 병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후퇴를 한것으로 보입니다.
4. 영화 명량과 명량해전
영화이기 때문에 실제 역화와는 다른 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영화에서 도선을 하는 장면이었는데요. 도선에 대한 부분이 역사에 나오지만, 영화처럼 격하게(피를 투기며 이순신의 판옥선을 왜적선이 감싸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투를 했을것이라고 보지는 않고 있어요.
명량해전에서 이순신은 왜적선이 비교적 견고하지 못하고, 왜소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운돌목에 쇠사슬을 연결하여 왜적선이 운돌목을 넘어오지 못하다록 1차적 방어를 하고, 360도가 돌아가는 판옥선을 이용하여 대포로 격추시켰다고 합니다.
그래서 명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입은 피해라고 하면, 전선의 피해는 없으며 조총으로 2명이 사망을 했으면 4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해요. 그런데 배위에서 칼부림이 났다면.. 과연 이렇게 적은 피해가 있지는 않았겠죠?? 왜군이 그래도 해적 출신들인데, 병사 몇몇의 목을 베긴 했겠죠^^
영화 명량에서는 이순신장군의 명량해전을 좀더 극대화 시켰기 때문에 이런 것들은 사실 많이 축소가 된것들이 있을것이고, 그래도 영화인데 대포 뻥뻥 몇번 쏘고 영화를 끝낼수가 없기때문에 이런 픽션의 몇몇 장면들을 넣은것 같네요ㅎ
뭐 일단 극장에서 보는건데 화려한 영상미가 있어야 하잖아요 >0<//
# 영화 명량, 볼만한가?
일단 이런 질문 자체가 무의미 할정도로 너무너무 많은 사람들이 본 작품이기 때문에 꼭 봐야 하는 영화중 하나가 된것 같네요. 좀더 디테일한 작품이 되었으면 좋았겠지만, 투자자들의 의견들도 있고, '흥행'이라는 것도 염려를 해야 하기 때문에 나름 나쁘지 않은 작품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영화가 재미만 있으면 되지라고 생각을 하시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을 해요. 재미있는 영화보다는 좀더 질 좋은 작품이 한국의 영화산업을 발전시킨다고 생각을 하거든요ㅎ
어째든 영화 명량!! 정말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p.s. 임진왜란에 대해서..
임진왜란은 조선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었던 전쟁으로 기록이 되고 있는데요. 사실 임진왜란 자체가 조선에게는 굉장히 치욕이라고 할수가 있어요,
당시 조선과 왜의 차이는 영국과 인디언의 차이라고 할수가 있었어요. 조선에거는 왜를 워낙 좀도둑으로 생각을 했는데(정확히는 해적 무리정도) 이런 좀도둑무리들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건들것이라고 상상을 하지 못했어요.
그런데 말도안되게 이놈들이 조선을 침략을 한것이죠. 너무 평화롭게 지내던 조선이 방심한 틈을 타서 왜놈들은 점점 조선을 먹어들어갑니다. 뭐 조총때문이라는 말이 있지만, 조선에도 조총은 있었어요. 하지만 조선의 활기술이 좀더 정확하고 거기에 파괴력까지 지녔으며. 조총은 비가 오면 쓸수가 없었지만 활은 그렇지 않았죠.
당시 어떠한 부분들을 봐도 조선의 무력은 왜의 2~3배 정도가 강했지만, 방심과 자만, 속단등등이 임진왜란은 크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임진왜란으로 조선은 엄청난 피혜를 입었고, 왜적은 물리쳤으나 약 30년간이라는 엄청난 전투는 말도안되게 여진족의 세력이 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드라마 삼총사를 보게 되면 여진족들이 조선을 보면서 형제의 나라라고 하는데, 이는 여진족이 떠돌이 생활, 혹은 약탈을 하는데, 조선인들이 이런 여진족에게 넓은 아량으로 먹을것과 입을것을 종종 주었기 때문이죠. (당시 햇빛정책 비슷했던거 같아요. 민가들이 약탈을 당하느니 국가에서 먹을것을 주겠다 라는 느낌?)
그래서 여진족들이 조선을 매주 좋게 생각을 하는데, 30년간 계속되는 전쟁속에서 조선이 여진족을 챙길 여력이 없었고, 여진족은 열악한 환경속에서 좀차 세력을 확장하게 됩니다. 그래서 후금이라는 나라도 세우게됩니다.
정말 말이 많은 영화 명량이었던거 같습니다. 이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들은 왠지 할말이 많음 >0<///
물론 제가 위에 쓴 글은 역사적인 사건들을 바탕으로 추리아닌 추리를 한것들도 있고, 이랬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라는 것도 적은것이 있어서 정확한 사실이라고 말씀드릴수는 없지만, 이랬을 수도 있다라는 점을 알고 영화를 보면 더욱더 재미가 있을것 같네요~~~!!
그러면 오늘은 뿅~~♥
'연예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오는날 듣기 좋은 노래 힙합 추천 모음 개인적인 생각과 고뇌 (0) | 2017.07.10 |
---|---|
쇼미더머니에서 1세대 래퍼 편집 그리고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 (0) | 2017.07.07 |
쇼미더머니6 원썬 1차 예선 결과와 내 생각 (0) | 2017.07.04 |
문스윙스 는 누구인가? _ 그의 모든것 (0) | 2014.09.13 |